DNA 서열결정 방법1950년대에 왓슨(Watson)과 크릭(Crick)은 양 가닥의 DNA 내 뉴클레오티드의 방향성이 서로 반대이고 각 염기에 대해 상보적(티민은 아데닌, 구아닌은 시토신과 항상 쌍을 이룸)이며 서로 수소결합을 이루는 이중 나선 구조임을 밝혔다. 이러한 DNA 이중나선 구조의 상보적 동일성은 세대간 유전시 동일한 유전자 전달의 바탕이 된다. DNA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맥삼 길버트(Maxam Gilbert) 시퀀싱법과 생어(Sanger) 시퀀싱법이 있습니다 DNA 서열결정(DNA 시퀀싱; DNA sequencing)은 DNA 분자 내 뉴클레오티드의 정확한 배열순서를 확인하는 데 이용되는 방법을 말한다. DNA 서열결정은 DNA 가닥을 구성하는 4가지 염기(티민(T), ..
동공반사(pupil reflex)는 빛의 밝기 정도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지는 현상으로 동공빛반사(pupillary light reflex, PLR)이라고도 합니다. 어두운 환경에 있는 사람의 동공에 빛을 쪼이면 동공의 크기가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빛반사(light reflex), 동공반사(pupil reflex), 또는 동공빛반사(pupillary light reflex)라고 한다. 빛반사는 한쪽 눈에만 강한 광선을 주는 경우에도 양쪽 눈에서 동시에 나타난다. 이 때 빛을 준 쪽 눈에서 나타나는 반사를 직접동공반사(direct pupil reflex), 반대 쪽 눈에서 나타나는 반사를 간접동공반사(consensual pupil reflex)라고 합니다 동공 크기 조절 기..
헤모글로빈 발견의 역사1825년 엔겔하드 (J. F. Engelhard)는 철과 단백질의 비율이 여러 종(species)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철의 알려진 원자량으로부터 헤모글로빈의 분자 질량을 n × 16000 (n = 헤모글로빈 당 철 원자 수, 현재 4로 알려져 있음)으로 계산했다. 이후 1925년 길버트 스미슨 아대어 (Gilbert Smithson Adair)가 헤모글로빈 용액의 삼투압을 측정하는 실험에서 이 결과를 확인했다. 산소 운반 단백질로서의 헤모글로빈은 1840년 프리드릭 루드윅 후네펠드 (Friedrich Ludwig Hünefeld)와 1870년대의 클라우드 버나드 (Claude Bernard)의 실험에 의해 발견되었고, 헤모글로빈이 가역적으로 산소에..